최신 Linux 그래픽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을 저장하는 일반적인 모드는 메뉴 기반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있는 구성 파일을 사용합니다.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구식 방법에 대해서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특정 애플리케이션은 “X 리소스”로 명명된 고유한 아키텍처를 사용합니다. 이 명명법은 언뜻 보기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 구현은 비교적 간단합니다.

X 리소스란 무엇인가요?

앞서 설명한 내용은 “X 리소스”가 “X 툴킷”의 초기 버전을 사용하여 개발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고 설명합니다. 몇 년 전에 만들어진 이러한 프로그램은 구식이 되었지만 “xterm” 및 “rxvt”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포함하여 일부 프로그램은 계속 활용되고 있습니다.

X 리소스를 조작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주요 동기 중 하나는 응용 프로그램 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측면(전경색 및 배경색 포함)을 수정하는 것입니다.

X 리소스의 구문에는 마침표(.) 또는

별표는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배경색을 포함하여 유사한 속성 이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셸과 비슷한 자리 표시자 역할을 합니다.

익스트림 환경에서 스크롤바를 렌더링하려면 몇 가지 단계를 수행해야 합니다.

 XTerm*scrollBar: True 

명령줄에서 X 리소스를 설정하는 방법

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 대부분의 초기 X 애플리케이션에는 즉시 설정할 수 있는 명령줄 대체 기능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urxvt 터미널 에뮬레이터는 배경색과 전경색을 각각 조정할 수 있는 -bg 및 -fg 옵션을 제공합니다.

프로그램의 매뉴얼 페이지에서 사용 가능한 대체 옵션의 범위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나중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기본 설정을 보존하는 편리한 방법은 이러한 매개변수를 통합하는 셸 별칭을 생성하고 이를 셸 초기화 파일(예: the.zshrc 또는.bashrc)에 추가하는 것입니다.

설명자 “-xrm”을 사용하면 “X”로 표시되는 특정 수량의 자산을 지정할 수 있으며, 해당 자산은 각각의 “리소스 형식”으로 표현됩니다.

 xterm -xrm 'Xterm*scrollbar: True' 

.Xresources 파일

X 툴킷 앱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있는 .Xresources 파일을 활용하여 실행할 때마다 특정 구성으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.이 파일은 홈 디렉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.bashrc 또는 기타 구성 파일과 비슷한 용도로 사용됩니다.

이 글도 확인해 보세요:  알아야 할 Linux 배포판의 3가지 주요 유형

주어진 문장을 좀 더 정교하게 렌더링할 수 있도록 허용해 주세요: “원하는 출력을 생성하려면 선호하는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여 파일을 열고 완료될 때까지 편집을 진행하세요. 완료되면 문서가 저장되었는지 확인하세요.

대부분의 최신 Linux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래픽 데스크톱 환경을 통해 로그인하면 시스템이 이 지정된 파일에서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합니다. 따라서 사용자는 메뉴 또는 명령 프롬프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레거시 X 프로그램에 액세스하고 파일에 저장된 기본 구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xrdb를 사용하여 .Xresources 수정

초기 디스플레이 관리자 없이 X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경우, xrdb를 사용하여 메모리에 로드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.Xresources 파일 내의 콘텐츠에 액세스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Xrdb는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으로 X 리소스를 로드하도록 설계된 유틸리티 애플리케이션으로,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X1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던 시절에 처음 개발되었습니다.

X 리소스 데이터베이스(xrdb)는 X 리소스가 동일한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원격 및 로컬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모두에서 원활하게 통신하고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플랫폼 간 호환성을 지원합니다. 이는 X 서버에 리소스를 로드함으로써 이루어지며,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격 위치에서 시스템에 액세스하든 로컬에서 실행하든 관계없이 사용자 지정 설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xrdb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명령줄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X 리소스 설정이 포함된 파일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.

 xterm -xrm 'Xterm*scrollbar: True' 

이것은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로 이 작업을 수행하라는 명령인 것 같습니다. 이는 사용자가 X Window System의 구성 파일인 ‘.xinitrc’ 파일을 정기적으로 수정해야 함을 나타냅니다.

 xrdb -load ~/.Xresources 
urxvt&
exec window-manager

.Xresources 파일을 수정하면 X 환경을 재부팅할 필요 없이 xrdb를 사용하여 조정 사항을 즉시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X 서버의 표준 구성 프로세스의 일부로 xrdb 설치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, 특정 상황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으며,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운영 배포에서 제공하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필요한 구성 요소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.

널리 사용되는 Linux 배포판의 몇 가지 예로는 Debian과 Ubuntu가 있습니다.

 sudo apt install x11-xserver-utils 

Arch Linux의 패키지 관리자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쉽게 설치, 업데이트 및 제거할 수 있는 명령줄 도구입니다.

 sudo pacman -S xorg 

페도라 및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(RHEL)의 설치 프로세스는 몇 단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:

 sudo dnf install xrdb 

이제 X 리소스에 대해 알았습니다

X 리소스를 활용하면 X 애플리케이션의 이전 반복을 수정할 수 있으므로 개인 선호도에 맞는 시각적 및 기능적 속성을 맞춤화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기본 X 툴셋에서 비롯되지만 툴킷은 정확히 무엇을 구성할까요? 툴킷은 Linux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미적, 감각적 특성을 확립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.

By 김민수

안드로이드, 서버 개발을 시작으로 여러 분야를 넘나들고 있는 풀스택(Full-stack) 개발자입니다. 오픈소스 기술과 혁신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고, 보다 많은 사람이 기술을 통해 꿈꾸던 일을 실현하도록 돕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.